[T.I.L] 2019-05-09
Today I learn :)
1. Bookmark Project
### Code Refactoring
- Response Entity 사용
- [Spring] ResponseEntity는 왜 쓰는 것이며 어떻게 쓰는걸까?
Client 의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는 독립적인 RestFul API를 개발하기 위해,
상태코드, HttpHeader, 응답메시지, 반환 데이터를 모두 지정해서 반환해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Client 측에서 Ajax를 통해(웹의 경우) API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데이터 뿐만 아니라 서버에서 지정한 상태코드, HttpHeader,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음으로써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서버에서는 Client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출력하는 방식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고
오직 리소스를 전달해주는 것에만 관심이 있다. - 상태 코드
- 회원가입 시 이메일이 중복되는 경우 : 409 CONFLICT
-
response dto String으로 직접 리턴하는 것보다 dto로 리턴하는 것이 좋다. 리턴 타입을 일치시키는 것이 프론트 입장에서도 좋고
- Error : Explicit type argument Button should be replaced by <>
- application properties에서 값 읽어오기
- binding result?
- 민감한 정보를 요청할때는 get 보다는 pos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