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 CLEAN CODE - Chapter 03

Nomad Book Club Challenge - DAY 6 (2022.02.23)

:book: 오늘 읽은 범위 : 3장 함수


:smile: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작게 만들어라!
    • 블록과 들여쓰기
      • if/else/while 문에 들어가는 블록은 한 줄이어야 한다.
      • 들여쓰기 수준은 1단이나 2단을 넘어ㅓ면 안 된다.
  • 한 가지만 해라!
    • ‘한 가지’가 무엇인지 알기가 어렵다.
    • 지정된 함수 이름 아래에서 추상화 수준이 하나인 단계만 수행한다면 그 함수는 한 가지 작업만 한다.
    • 의미 있는 이름으로 다른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면 그 함수는 여러 작업을 하는 셈이다.
  • 함수 당 추상화 수준은 하나로!
    • 한 함수 내에 추상화 수준이 섞이면 코드를 읽는 사람이 헷갈린다.
    • 내려가기 규칙
      • 한 함수 다음에는 추상화 수준이 한 단계 낮은 함수가 온다.
      • 참고: 목록 3-7
  • Switch문
    • 본질적으로 switch문은 N가지를 처리한다.
  • 서술적인 이름을 사용하라!
    • 코드를 읽으면서 짐작했던 기능을 각 루틴이 그대로 수행한다면 깨끗한 코드라 불러도 되겠다.
    • 길고 서술적인 이름이 길고 서술적인 주석보다 좋다.
  • 함수 인수
    • 함수에서 이상적인 인수 개수는 0개다.
  • 명령과 조회를 분리하라!
    • 함수는 뭔가를 수행하거나 뭔가에 답하거나 둘 중 하나만 해야 한다.
    • 객체 상태를 변경하거나 아니면 객체 정보를 반환하거나 둘 중 하나다.
  • 오류 코드보다 예외를 사용하라!

:mag_right: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OCP

:thinking: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master programmer는 시스템을 (구현할) 프로그램이 아니라 (풀어갈) 이야기로 여긴다.
    •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서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지. 컴퓨터와 다른 개발자들과.

:sunglasses: TAGS #코딩 #개발자 #노마드북클럽 #노개북

Leave a comment